본문 바로가기

일상 소개하기

핵꿀팁 비오는 날 자동차 앞 유리 한번에 습기 제거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점심식사는 맛있게 하셨나요?

오늘은 비가 주룩주룩 오네요. 

비오는 날 하면 생각이 나는게 많네요.

 

파전, 장화, 우산 등등

 

저는 자가용이 있어서 비오는 날이나 눈오는 날이면 참으로 곤란할 때가 많습니다.

바로 주행에 있어서 원할하게 주행하기 어렵기 때문이죠

그래서 미리 일기예보를 보고 날씨가 심하면 (비가 엄청 오거나, 눈이 많이 오면) 웬만하면 자동차를 끌고 가고 싶지 않지만 그래도 자가용 제일 편하기 때문에 꿀팁을 알아보고 주행을 합니다.

 

비가오는 날 

차량을 가지고 운전을 하려고 하는데

차량 앞 유리에 습기 때문에 고민이 많습니다.

이럴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은 자동차를 주행할 때 자동차 앞 유리에 습기가 찰 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제가 꿀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문제가 발생합니다.

먼저 이렇게 비오는 날 

자동차 앞 유리에 습기가 끼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비가오는 날에는 기온의 변화로 

차 내부의 온도와 바깥에 온도의 차이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비가 오는 날에는 확실하게 바깥 온도가 변화하는 이유가 있어서 

차량 앞 유리에 습기가 차는 것입니다.

자동차 앞 유리 습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단한 꿀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딱히 준비물은 필요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바쁘기 때문입니다.

 

차량의 에어컨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먼저 차량의 내부 에어컨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제 차량의 기준 쉐보레 스파크LT으로 말씀드립니다.)

차량의 종류가 비슷하기 때문에 웬만하면 따라하실 수 있게 설명하겠습니다.

비가 오는 날에는 미등을 켜고 주행합시다.

총 3개의 다이얼이 있습니다. 

차량의 공조기 기본 기능입니다.

차량의 종류마다 이 기능의 위치가 다소 다를 것이지만 

기본 기능은 탑재 됐습니다.

 

제 차량의 기준으로 먼저 설명드리면 

0-맨 왼쪽다이얼 (에어컨 바람 세기 조절기능), 0-중간다이얼 (바람의 방향 조절) 0-맨 오른쪽 다이얼 (에어컨 온도 조절)

 


이제 기본 설명이고 이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결정적인 버튼이 

차량에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이 버튼의 이름이 바로 차량 김서림 제거 버튼입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바로 습기 제거가 됩니다. 

이 버튼을 누르게 되면 자동차 에어컨 바람이 차량 앞 유리에 집중적으로 바람을 쏴주어

습기를 한번에 제거할 수 있습니다.

김서림 제거 버튼


다음으로 습기 제거 버튼을 이용한 영상입니다.

한 번 보시면서 느껴보세요.

습기 제거 버튼

한번에 습기가 제거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당연히 다들 알고 있는 기능이라고 생각하지만

은근히 모르는 분도 다수 있을 것입니다. 습기 제거버튼 오늘같이 비오는 날에 사용하면 좋습니다.

습기 때문에 전방 시야에 방해가 되서 혹시라도 사고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미리 방지 해야합니다.

습기 제거 버튼을 유용하게 쓰시면 됩니다.


한가지 tip을 드리자면 

주행시 차량의 문을 살 짝 연상태에서 주행하면 더욱 좋습니다.

아까 언급했듯이 

습기가 생기는 이유가 외부와 내부의 공기 차이이기 때문이어서

주행하면서 창문을 열어서 온도차이를 줄여야 합니다.

 

조금 오바하긴 했는데

이렇게까지 열어서 주행할 필요는 없습니다.^^

어느정도 창문을 열어서 주행을 하면 좋습니다. 

이렇게 과도하게 열어서 주행할 필요는 없습니다.


창문열면서 주행하기 어려우시면

차량의 마치 창문을 연 것 같은 효과를 보기 위해서 차량의 공조기 버튼 기능이 있습니다.

 

사람의 모양이 그려진 표식을 보면 

바람의 방향이 둥글게 있는 것이 보일 것입니다.

이것은 바로 내부순환이 되는 모드입니다.

바로 외부 공기가 차단이 되는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밑에 빨간색 동그라미를 보면 

차량의 내부순환을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바꿔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바로 차량의 순환모드를 변경하는 버튼입니다.

제 손가락이 바로 그 버튼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저 버튼을 한번 눌러 보겠습니다.^^

차량의 내부순환


바로 이렇게 

순환모드가 변경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지금의 상황은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변경을 한 것입니다.

순환모드

이렇게 한다면 굳이 창문을 열지 않아도

외부 공기가 들어와 습기 제거를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도 발로뛰며 직접 뛴 정보를 나누어 봤습니다.

비가 많이 오네요. ^^ 비가 올 때는 미등 (1단계 차량의 등)을 켜는 것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은근히 도로에 나가면 미등을 켜지 않는 차량을 많이 봤습니다.

다른 차를 배려해주는 마음으로 미등을 키고 안전하게 주행하길 바랍니다^^ 

 

다음에도 좋은 정보와 꿀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날 하루로 소중하게 하루를 보내세요^^